한국건설기술인협회 경력수첩 어디에 활용할 수 있을까?
한국건설기술인협회 경력수첩 이란?
한국건설기술인협회에서 건설기술인(건설업 종사자)들의 경력을 관리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제도이다.
기술인의 학력, 경력, 자격증, 교육을 점수로 변환하여 일정치 이상이 모인다면 그에 맞는 등급을 부여하여 참여할 수 있는 공사의 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한 제도입니다.
건설업에 해당되는 직무인 건축, 토목, 전기, 기계, 안전관리 등 다양한 종류에서도 전문분야를 추가적으로 나누어 기술인의 정확한 역량을 표기하는 방식인데요.
대부분 직무분야 요건만 맞춘다면 문제없이 활용이 가능합니다.
- 현장대리인 선임
- 적격심사 시 가산점
- 공사 입찰 시 필수
-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선임
- 종합 및 전문 건설업 면허 등록 조건
이 밖에도 건설과 관련된 곳에서 근로자를 배치할 때에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.
한국건설기술인협회 경력수첩 등급
한국건설기술인협회 경력수첩의 등급을 설명하기 전에 수첩은 총 세 가지로 나누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설계시공 / 품질관리 / 사업관리 이렇게 나뉘어 있으며, 각 요건에 따라서 취득해야 하는 역량지수(환산 점수)도 달라집니다.
우선 설계시공 / 품질관리 기술자의 등급별 점수는,
- 초급 : 35점
- 중급 : 55점
- 고급 : 65점
- 특급 : 75점
그리고 별도의 사업관리 기술자의 등급별 점수는,
- 초급 : 45점
- 중급 : 65점
- 고급 : 75점
- 특급 : 85점
으로 10점씩 높은 역량지수를 취득해야지만 등급을 발급 받으실 수 있습니다.
한국건설기술인협회 경력수첩 역량지수
각 분야에 해당하는 한국건설기술인협회 경력수첩 의 등급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본인의 지수를 계산할 줄 알아야 합니다.
기본적으로 학력 / 경력 / 자격증 / 교육 이렇게 네 가지의 지수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,
본인이 건축분야의 수첩이 필요하다면 위 네 가지 요건 모두 건축과 관련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.
● 학력 점수
4년제 졸업 : 20점
3년제 졸업 : 19점
2년제 졸업 : 18점
이공계열 : 15점(공고, 비전공 대졸자)
기타 : 10점(일반 대졸자나 고졸자)
● 경력 점수
1년 : 0점
2년 : 7.51점
3년 : 11.91점
4년 : 15.03점
5년 : 17.45점
6년 : 19.42점
7년 : 21.10점
8년 : 22.54점
9년 : 23.82점
10년 : 24.96점
● 자격증 점수
기능사 : 15점
산업기사 : 20점
기사/기능장 : 30점
기술사/건축사 : 40점
● 교육 점수
건설정책 역량강화 교육 : 1점
건설정책 역량강화 교육 외 : 2점
※ 35시간 교육 기준
여러분에게 해당되는 점수들을 파악해서 더한다면 현재의 역량지수를 파악할 수 있고, 그에 맞는 등급의 수첩도 발급이 가능합니다.
위에 내용들은 한국건설기술인협회 경력수첩 발급에 가장 기본적인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.
이 외에도 경력을 계산하는 방법이라던가, 학력의 가산점 , 경력의 가산점 등등 추가적인 내용들이 많이 있습니다.
이런 내용들을 앞으로 포스팅할 생각이니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.
댓글에 나온 내용을 기준으로 새로운 글로 찾아 뵙겠습니다.